민속과예술
민속놀이
대동놀이
탈놀이
하회탈놀이5 - 할미마당
쪽박을 허리에 찬 꼬부랑 할미가 등장하여 베를 짜는 시늉을 하며 궁핍하게 살아온 신세타령을 베틀가로 읊는다. 베틀가의 내용은 시집간지 사흘만에 과부가 되어 겪는 고통과 삶의 애환이 절박하게 표현된다. 신세타령을 한 뒤에는 영감과 청어 먹기 타툼을 벌인다.
- 굿거리 -
〈할미가 굿거리 장단에 맞춰 '등장 춤'(엉덩이 춤)을 추며 입장하여 마당 가운데 털석 주저 앉으면 상쇠는 가락을 멈추고 할미는 베를 짜는 시늉을 하며 베틀가를 부른다.〉 (등장이 지루할 수 있으니 할미는 마당을 넓게 사용하되 시간을 조절하여야 한다.)
- 베틀가(중중모리) -
    춘아춘아 ∼  옥단춘아
    성황당의     신령님네
    시단춘이     춘일런가 ∼
    시집간지 ∼  사흘만에
    이런일이     또있는가 ∼
    열다섯살 ∼  먹은나이
    과부될줄     알았다면
    시집갈년     누이런가 ∼
    바디잡아 ∼  치는소리
    일평생을     시집살이
    아구답답     내팔자야 ∼
    베틀다리 ∼  두라릴랑
    서방다리     두다리요
    내  다리     두다리요
    쌍을지은     네다리요 ∼
    바디잡아 ∼  치는소리
    우리낭군     목소리요 ∼
    살림살이 ∼  어떤가배
    에고에고     묻지마소
    시집온날     입은치마
    분홍치마     눈물되고
    다홍치마     행주되네 ∼
    삼대독녀 ∼  외동딸이
    시집온지     사흘만에
    저양반집     씨종살이
    씨종살고     얻은삼을
    짜투리고     어울쳐도
    삼시세때     좁싸래기 ∼
    사흘염천 ∼  긴긴해를
    허리메고     배가고파
    저선비내     씨종살이
    디리썩썩     네리싹싹
    독수공방     밥메기나 ∼
    바디잡아 ∼  치는소리
    모진삶은     잘도간다. ∼
  베틀가가 끝나면 영감과 할미의 청어 먹은 다툼이 벌어진다. 
광대 : "할마이 비는 다짰나?"할미 : "비는 다 짰다마는-"
광대 : "할마이, 어제 내가 장 가서 사온 청어는 다 먼나?"
할미 : "엊 저녁에 당신 한 마리, 내 아홉 마리, 오늘 아직에 내 아홉 마리, 당신 한 마리, 한 두름 다 먹었짢나"
광대 : "할마이는 고 따우로 먹어대이께네 이가 다 빠지지... 그 따우로 살림 살라카만 쪽배기나 들고 얻어 묵기 딱 알맞대이-"
할미 : "내 팔자가 그런 걸 우야란 말꼬"
- 자진모리 -
〈할미는 궁둥이를 털며 일어서 차고 있던 쪽박을 들고 일어나 사람들에게 구걸하며 돌아다니다 구걸한 돈을 치마 품속에 숨기고 다시 구걸하다 퇴장한다.〉
할미마당은 이중의 의미를 지니고 있다. 할미의 베짜는 모습과 신세타령 및 초라한 차림새를 통해서 한편으로는 여성들의 고난을 보여준다. 그리고 청어를 영감 한 마리 주고 자신이 아홉 마리나 먹었다고 하는 할미의 대응방식을 통해서, 남성중심의 가부장적 권위를 파괴하고 남녀간의 상하관계를 뒤집어 버리는 모습을 보여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