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주메뉴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한국국학진흥원

하회의모든것

생태와환경

경제생활
겨울철 농사
짚풀공예와 농서
위빈명농기
수암선생문집 중 위빈명농기관련부분
수암선생문집 중 위빈명농기관련부분

하회마을의 충효당에 소장되어 있던 고농서 『위빈명농기(渭濱明農記)』는 서애 류성룡 선생의 셋째아들 수암 류진(柳袗, 1582-1635)이 저술한 필사본이다. 그리고 그의 조카였던 졸재 류원지(柳元之, 1598-1678)가 여러 지역의 사례를 덧붙여 『전사문(田事門)』으로 확대 개편한 것으로 해석되고 있다. 하회마을의 충효당에 소장되어 있던 고농서 『위빈명농기(渭濱明農記)』는 영남대학교 이수건 교수에 의해서 처음 발굴되고 연구되었다. 이 농서는 서애 류성룡 선생의 셋째아들 수암 류진(柳袗, 1582~1635)이 저술한 필사본이다. 그리고 그의 조카였던 졸재 류원지(柳元之, 1598-1678)가 여러 지역의 사례를 덧붙여 『전사문(田事門)』으로 확대 개편한 것으로 해석되고 있다. 처음 류진이 지은 농서는 조선 세종대의 『농사직설』을 참고하여 상주지역의 농법을 중심으로 소개한 것이다. 그후 그의 조카인 류원지가 안동지역의 농법을 여러 사례 소개하여 덧붙여서 확대한 것이다.

다루어진 내용을 보면, 1)종자 준비, 2)땅 가는 법, 3)잡초 없애는 법, 4)밭을 다스려 곡물 파종하는 법, 5)곡물 파종 적기, 6)황무지 개간하기, 7)황무지 판별법, 8)전답에 거름을 주어 땅을 기름지게 하는 법, 9)올벼 무논 재배법, 10)건파 재배법, 11)못자리 거름 주기, 12)늙은 모 되살리기, 13)모 되심는 법, 14)화누법, 15)모 기르는 법, 16)마른 모 기르는 법, 17)볍씨, 18)보리 재배법, 19)목화 재배법, 20)녹두, 21)팥, 22)콩, 23)참깨, 24)잇꽃(紅花), 25)삼(大麻), 26)피, 27)수수 등 27항에 이른다. 이 가운데서 지역농서의 특색을 잘 드러내는 내용을 간략히 보도록 하자. 첫째는 종자준비를 매우 중요하게 여겨 책의 제일 앞에 실었다. 둘째는 여러 차례 논밭을 갈면 수확이 많아진다는 것을 강조하고 있다. 셋째는 논농사에서 모내기를 기본적으로 채택하고 있으며, 가뭄이 들면 양건앙(陽乾秧)이라는 마른못자리 방법을 마련하고 있다. 모내기 기술체계의 발달을 매우 잘 보여주고 있다. 넷째 시비법과 제초법에서는, 거름을 주기 위한 풀베기, 잡초 발생을 억제하기 위한 여러 차례 갈아엎기를 강조하고 있다. 이 농서는 17세기의 상주, 안동 일원의 지역농법을 잘 보여주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농서 가운데 상당히 이른 시기의 것이다. 서애 선생의 셋째 아들 수암 류진이 짓고, 그의 조카 졸재 류원지가 보충한 이 농서는 17세기의 상주, 안동 일원의 지역농법을 잘 보여주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특히 논농사에서 모내기법이 기본으로 되어 있다는 점에서, 농업기술사적으로 경북 북부지역이 선진지였음을 말해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