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주메뉴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한국국학진흥원

하회의키워드

반가문화

하회의 입춘축
하회의 입춘축

충효당 사랑채 대문에는 세화연풍(歲和年豐), 국태민안(國泰民安)이라는 입춘축을 붙여놓았다. 사랑채의 문 위에는 ‘연년만수(延年萬壽)’와 같은 글귀를 세로로 써서 가로로 붙임으로써 장수를 기원한다. 또한 사당에는 감고기축입춘자시(敢告己丑立春子時)라고 붙여 놓아 입춘을 맞이한 인사를 드렸음을 알 수 있다. 사랑채 뒤에서 안채로 이어지는 중문에는 요순 임금의 시대와 같이 풍요롭고 태평하기를 기원하는 ‘요지일월(堯之日月)’ ‘순지건곤(舜之乾坤)’ 글귀를 붙여놓았다.

국태민안(國泰民安) : 나라는 태평하고 백성은 편안하며
세화연풍(歲和年豐) : 시절이 화평하고 풍년이 되겠네

연년만수(延年萬壽) : 연연이 만수를 누리고

감고기축입춘자시(敢告己丑立春子時) : 감히 고하나니 기축년 입춘을 맞이했습니다.

요지일월(堯之日月) : 요임금 때와 같이 일월이 순조롭고
순지건곤(舜之乾坤) : 순임금 때와 같이 천지가 조화롭다

충효당 안채 기둥에는 신수자족(薪水自足)이라는 글귀가, 방문 위에는 화기만당(和氣滿堂) 수여남산(壽如南山) 등을 붙여놓았고, 안채 대청 기둥에는 강복양양(降福洋洋), 가화만사성(家和萬事成) 등을 붙였다. 고방 문에는 충어내(充於內) 적어외(積於外)라는 글귀를 붙여서 안에서 충당하고 밖으로부터 축적한다고 재화의 절약과 풍요를 기원하고 있다. 또다른 고방 문에는 용지불갈(用之不渴) 취지무금(取之無禁) 등의 글귀를, 중문에는 삼양(三陽) 태회(泰回)를 붙였다.

화기만당(和氣滿堂) : 화목한 기운이 집안에 가득하다

수여남산(壽如南山) : 남산과 같이 수복을 누린다[출전 : 주역(周易)]

강복양양(降福洋洋) : 복을 내려받아 바다와 같다[출전 : 시경(詩經) 第 四篇 송(頌)]

가화만사성(家和萬事成) : 집안이 화목(和睦)하면 모든 일이 잘 된다는 말[출전 : 명심보감(明心寶鑑) 치가(治家) 편]

충어내(充於內) : 안에서 충당하고(절약하여 쓰고)
적어외(積於外) : 밖으로부터 축적한다

취지무금(取之無禁) : 아무리 취해도 금지함이 없음
용지불갈(用之不渴) : 아무리 써도 닳거나 말라 없어지지 아니함
[출전 : 소동파(蘇東坡)의 적벽부(赤壁賦), 판소리 적벽가, 흥보가 등에 등장, 흥보가에서는 취지무궁(取之無窮)으로 표현되어 있음)]

삼양(三陽) : 명당이 내양이 되고, 안산이 중양이 되고, 뒷산이 외양이 되니, 이것을 삼양이라고 한다[출전 : 세조실록 권34(明堂爲內陽 案山爲中陽 案後山爲外陽 是爲三陽)]
태회(泰回) : 크게 돌아나가 자연과 인륜의 조화를 이루어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