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주메뉴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한국국학진흥원

하회의키워드

민속문화

하회탈춤
하회탈

하회탈은 우리나라의 수많은 탈 가운데 유일하게 국보로 지정된 귀중한 문화유산이다. 처음에는 양반, 선비, 중, 초랭이, 각시, 할미, 부네, 이매, 백정, 총각, 별채, 떡다리 등 12개의 탈이 있었으나 언제부터인지 별채, 총각, 떡다리탈은 잃어버리고 현재는 9개의 탈만 전해진다. 하회탈의 제작연대는 대략 고려 중엽쯤으로 추정하고 있으며, 국보 제 121호로 지정되어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하회탈의 유래는 허도령전설과 함께 전한다. 하회탈의 제작 시기는 고려 중엽인 12세기 경으로 추정된다. 당시 하회마을엔 허씨들이 모여 살고 있었다고 한다. 그때 마을에 재앙이 들었는데 허도령이라는 사람의 꿈에 신이 나타나 "탈을 12개 만들어서 그것을 쓰고 굿을 하면 재앙이 물러갈 것"이라고 계시를 하며 탈이 "다 만들어 질 때까지 누구도 들여다보게 해서는 안 된다"는 금기까지 일러 주었다고 한다.
현몽을 한 허도령은 그때부터 목욕재개하고 문밖에 금줄을 쳤으며 방문을 걸어 잠근 채 두문불출하며 오랜 시간 동안 탈 제작에 몰두하고 있었다 한다. 그때 허도령을 사모하던 처녀가 허도령이 하도 그리워 어느 날 금줄을 넘어 허도령이 탈을 만드는 방의 문에 구멍을 뚫고 들여다보았다고 한다. "누구도 들여다 보게 해선 안된다"는 신의 금기가 깨어지는 순간 허도령은 그 자리에서 피를 토하면서 죽었으며 그때 마지막으로 만들던 이매탈은 턱을 완성하지 못한 채 허도령이 죽음으로써 지금까지 턱이 없는 채 전해져 오고 있다고 한다.
하회탈은 양반, 선비, 중, 할미, 초랭이, 백정, 이매, 각시, 부네 등 9개와 주지 2개이다. 탈의 뒤쪽은 검은 천이 꿰매져 있어서 덮어쓰기에 편리하다. 탈은 평소에 동사의 다락에 보관하지만, 별신굿을 행할 때는 섬에 넣어서 ‘청광대’가 관리한다. 섣달 그믐날이 되면 광대들은 서낭당에 다녀온 후 ‘큰광대’가 ‘술령수’하고 외치면 모든 광대들이 ‘우우’하고는 탈을 쓴다. 마을 주민들은 별신굿을 할 때 이외에는 탈을 볼 수 없으며, 부득이 보아야 할 경우에는 신에게 고하고 난 후 보아야 한다고 인식한다.